코요테의 경이로운 적응 능력

[노트펫] 지난 주말, 아침부터 멀리 이동할 일이 있어서 6시도 안 된 시간에 운전대를 잡고 출발했다. 밤눈이 어두운 필자는 가급적 야간 운전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미국의 여름은 새벽 5시만 되어도 밖이 밝아지므로 별다른 부담감 없이 운전할 수 있었다.

 

필자가 사는 집에서 동부나 서부로 가는 경우에는 큰 길을 통해 바로 고속도로를 탈 수 있다. 하지만 아이오(Iowa)나 미네소타(Minnesota), 심지어 캐나다 매니토바(Manitoba) 같은 북으로 향할 때는 고속도로를 그렇게 간단히 이용할 수 없다. 마을 옆에 있는 울창한 숲 속에 있는 작은 오솔길을 지나야지 고속도로를 탈 수 있다.

 

그 숲에 관해서는 여러 이야기들이 전해지고 있다. 어떤 주민은 사슴, 비버(Beaver) 같은 순한 동물들은 물론 코요테(Coyote)가 산다고 얘기한다. 또 다른 주민은 늑대와 흑곰까지 그 숲에서 산다고 말한다. 물론 그 말은 과장이 좀 섞인 것 같다. 아마 그 이웃의 할아버지 정도 때에는 그런 동물들이 살았을 것 같다.

 

운전을 한 지 십여 분이 흘렀을 때였다. 도로에 진돗개보다 조금 야생동물 한 마리가 제법 큰 다람쥐 한 마리를 주둥이에 물고 필자의 차량 쪽으로 건너오는 게 보였다. ‘저게 무엇일까’하는 생각을 잠깐 해보았다. ‘여우일까, 아니면 늑대 새끼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그 동물은 영리했다. 필자가 길을 건너는 자신을 위해 운전 중인 차량의 속도를 늦출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 동물은 움직임에서 여유까지 보였다. 잠시 후 길을 건너는 개와 비슷하게 생긴 동물과 눈이 마주쳤다.

 

꿩을 사냥하는 코요테, 2018년 6월 텍사스 댈하트 XIT박물관 촬영

 

 

코요테였다. 야생의 코요테를 그렇게 가까운 거리에서 본적이 없었다. 동물원의 코요테도 그렇게 가까이서 본 적이 없었다. 온몸에 소름이 돋았다. 코요테의 얼굴에는 ‘오늘 아침은 굶지 않고 잘 먹겠다.’는 듯 여유까지 보였다. 걸음걸이도 매우 경쾌하게 보였다.

 

필자와 새벽에 만난 코요테는 어려운 환경에서도 강한 생존능력을 발휘하는 동물로 널리 알려졌다. 가까운 친척이면서 북미 대륙의 최강 포식자인 회색늑대(Gray Wolf)는 유럽인들의 이주 이후 멸종위기에 처했지만, 코요테는 아직도 굳건하게 자신의 위치를 지키면서 생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요테는 오히려 늑대가 그동안 차지하였던 포식자의 빈자리를 대신 채우면서 포식자 행세를 하고 있다. 어떻게 보면 사람 덕분에 한 계급 오른 셈이나 마찬가지다.

 

회색늑대는 코요테와 약 5~12만 년 전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매우 가까운 혈연관계라고 할 수 있다. 2017년 11월 멤피스동물원에서 촬영

 

코요테는 흔한 야생동물이다. 그렇다고 코요테를 산이나 들 같은 야생에서만 보는 동물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코요테는 야생이 아닌 마을에서도 자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적응 능력이 뛰어난 코요테는 야생이 아닌 사람이 사는 마을에서 마치 주인 없는 유기견이나 들개처럼 흔히 주변을 맴돈다. 이유는 단순하다. 먹이를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쓰레기통을 뒤지기도 하고, 쥐나 다람쥐 같은 설치류를 사냥하기도 한다.

 

코요테의 식성은 경이롭다고 표현해야 하는 수준이다. 육식동물인 코요테는 아무것이나 먹을 수 있다. 동물성 단백질인 곤충이나 파충류는 물론 작 먹고, 과일인 베리(berry)도 무척 좋아한다. 속이 꽉 차고 섬유질이 많아서 포만감을 줄 수 있는 배추도 좋아한다.

 

사냥 전문 매장에서는 사냥 연습용 코요테 모형을 판매한다. 2017년 11월 멤피스에서 촬영

 

코요테는 죽은 고기도 잘 먹는다. 코요테는 사냥 능력이 뛰어난 육식동물이다. 하지만 죽은 사체 처리도 마다하지 않는다. 공짜 식사도 좋아한다. 심지어 동족인 다른 코요테의 사체도 발견하면 깔끔하게 해치운다. 사냥꾼들은 코요테의 이런 습성을 이용하여 사냥을 하기도 한다. 코요테의 사체에서 기름을 떼어내서 코요테를 유인해서 잡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코요테를 환경 적응능력이 탁월한 구대륙의 자칼과 비교하면서 ‘북미의 자칼’이라고 평가한다. 

 

이강원 동물 칼럼니스트(powerranger7@hanmail.net)

 

ⓒ 반려동물 뉴스 노트펫,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