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똥 상태로 알아보는 건강 위험 신호
고양이의 똥 상태는 건강을 체크할 수 있는 가장 쉽고 간단한 방법이다. 때문에 고양이 화장실을 청소해 줄 때에는 고양이 똥의 크기와 색, 단단함 정도를 체크하도록 하자. 고양이의 컨디션 저하를 빨리 알아차릴 수 있다.
고양이는 원래 음수량이 적기 때문에 변비에 걸리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신체적인 특성상 장이 지나가는 골반의 넓이가 좁아 변비가 걸리기 쉽다. 힘이 약해지는 노령묘 시기에는 변비에 걸리는 고양이들이 많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
거대결장증의 위험도며칠 동안 계속 똥이 나오지 않는 심한 변비가 있다면 거대결장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있다. 거대결장증이란 장 내에서 똥이 계속 쌓여 맹장과 직장 사이의 결장에 축적되는 증상이다. 변비가 지속된다면 진찰을 받아보도록 하자.
2. 검은색 똥똥의 색이 검은 색인 경우 위장과 소장 등 장내 출혈로 인한 혈변일 가능성이 있다. 이 때는 설사처럼 묽은 똥을 싸기도 한다. 똥의 겉부분에 혈흔이 묻어 있다면 항문이나 외부 출혈일 가능성이 높다. 평소보다 똥 색이 검은색에 가깝다면 진찰을 받는 것이 좋다.
고양이가 먹은 음식에 색소가 첨가되어 있었다면 똥에서 그 색이 나타날 수 있다. 똥의 색도 고양이 컨디션 체크에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에 가능한 색소 무첨가 식품을 선택하자.
3. 얇고 긴 똥고양이의 똥 모양이 얇고 길다면 어떠한 원인으로 창자가 압박되고 있을 위험이 있다. 직장암이 커지면서 장을 압박하고 있거나 수컷의 경우 전립선 비대, 암컷의 경우 자궁 육종이 원인일 수 있으니 주의하자.
4. 희뿌연 색고양이 똥 색의 바탕이 되는 것은 담낭에서 분비되는 담즙에 포함된 빌리루빈이라는 황갈색 또는 붉은 갈색 물질이다.
고양이의 똥 색이 희뿌연 색을 띈다면 담즙과 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액의 췌액이 충분히 분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담이나 췌장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진찰을 받도록 한다.
5. 양이 너무 많아도 안 좋아굵고 큰 똥을 수확(?)하는 날에는 왠지 모르게 집사의 마음은 뿌듯하다. 하지만 고양이의 똥 양이 너무 많아도 좋지 않다. 음식의 영양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는 경우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양이 사료의 종류에 따라 식이 섬유가 많이 함유되었다면 똥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만약 일반식을 먹이고 있는데 똥의 양이 갑자기 많아지거나, 마른 듯한 느낌이 든다면 영양과 칼로리가 제대로 흡수되지 않고 있을 수 있다.
먹는 것과 배설은 건강과 직결된다. 건강하게 먹고 건강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냄새나고, 더럽다고 생각하는 똥이지만 매일 체크해주는 것이 고양이 건강을 지키는 길이라고 생각하자.
특히 사료를 바꾸거나 고양이가 처음 먹어보는 음식을 섭취했다면 똥 상태를 유의해서 보도록 한다.
고양이 똥 상태로 알아보는 건강 위험 신호에 대하여 비마이펫 라이프에서 더 읽어보세요
ⓒ 반려동물 뉴스 노트펫,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