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래도 돼...?' 지프 보닛 위에 동물 태우고 운전하는 무모한 운전자

2025.02.13 13:28:13    김은향 기자 uasd123@naver.com
ⓒInstagram/ishaksinka
 

[노트펫] 한 운전자가 지프 차량 보닛 위에 동물을 태우고 운전하는 모습이 소셜미디어에 널리 퍼진 가운데 이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수면 위로 부상했다.

 

지난 8일(현지 시간) 인도 영자매체 인디아투데이에 따르면, 인도 비사카파트남에 위치한 한 도로에선 희한하고 위험한 풍경이 펼쳐졌다.

 

당시 도로를 주행하고 있던 지프 차량에 동물 1마리가 서 있었다는데. 

 

ⓒInstagram/ishaksinka
 

인스타그램 유저 이사악 마디나 발리 신카(Ishak Madeena Vali Sinka)가 지난달 17일 자신의 계정에 공개한 영상을 보면, 지프 차량의 보닛 위에 동물이 위풍당당하게 서 있다.

 

얼핏 보면 사자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녀석은 커다란 마스티프(English Mastiff)였다. 사자로 분장한 마스티프는 무섭지도 않은지 차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보닛 위에서 바람을 쐬고 있는 듯하다.

 

이어 차량은 멈춰 섰고, 주변에 있던 구경꾼들이 마스티프에게 몰려왔다. 이들은 마스티프를 촬영하거나 녀석을 향해 미소를 지으며 관심을 쏟아냈다.

 

ⓒInstagram/ishaksinka

 

해당 영상을 시청한 네티즌도 "개가 사자로 변했네", "알고 보니 개였구나", "겉모습은 사자처럼 보였어"라며 흥미를 보였다.

 

하지만 차 보닛에 마스티프를 싣고 운전을 감행한 운전자를 비판하는 시각도 있었다.

 

한 네티즌은 "경찰은 이것에 대해 조치를 취해 주세요. 그리고 동물 단체도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라며 운전자를 힐난했다. 아무리 운전자가 마스티프의 목줄을 쥐고 있었더라도, 오픈카처럼 사방이 뻥 뚫려있는 지프 차량 위에 개를 태우는 건 위험하기 때문.

 

ⓒInstagram/ishaksinka

 

운전할 때 반려동물을 따로 격리하지 않고 곁에 둘 경우, 사고가 발생할 확률은 높아지게 된다. 리서치 게이트에 실린 연구에 의하면, 개들의 23.8%가 차에 탑승한 상태로 이동하다가 문제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 행동은 운전자에게 지장을 줄 뿐 아니라, 주변 사람에게도 해를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로 개와 함께 이동할 때는 이동장 안에 개를 넣어두어야 한다.

 

아울러 이동장이 흔들리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이동장을 고정할 수 있는 장치도 마련해야 개와 운전자 모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 반려동물 뉴스 노트펫,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