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턱 여드름 관리를 위한 가이드북
1. 턱드름, 정체가 뭘까?
턱드름이란 턱에 발생한 여드름으로, 면포(comedone)가 고양이의 턱과 입주변에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면포는 피지샘이 막혀 피지가 밖으로 적절히 배출되지 못한 채 축적되어 생긴 비염증성 여드름을 의미하며 흔히 말하는 화이트헤드와 블랙헤드입니다. 사람의 코에 생기는 블랙헤드와 같은 것입니다. 사람의 피지선이 코에 많이 분포해있듯 고양이에서 피지샘은 턱, 입술주위에 많이 분포해 있습니다.
2. 턱드름, 왜 생기는걸까?
턱드름은 성별, 종, 나이에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일으키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선천적으로 피지분비가 왕성하거나, 스트레스, 면역력 저하, 알레르기에 의해 모낭의 적절한 기능이 유지되지 않은 경우들이 있습니다.
알레르기의 원인으로는 플라스틱 혹은 고무재질의 밥그릇, 음식, 주변 환경이 있으며 면포의 주위는 다른 세균이 번식하기 쉽기 때문에 염증을 일으켜서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2차 감염이 발생해서 잘 낫지 않고 의약품의 처치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2차감염이 발생하기 전 미리 예방하는게 중요합니다.
3. 턱드름의 증상은?
턱드름이 나타나는 부위는 주로 턱, 아랫입술 또는 드물게 윗입술 주위입니다. 수많은 면포로 인해 턱이 지저분해 보이며, 오랫동안 방치되거나 감염으로 인해 염증이 발생한 경우 면포는 작은 구진과 농포로 진행됩니다.
초기에는 가볍게 치료가 가능하지만, 염증의 정도에 따라 종기와 봉와직염으로 이환되기도 합니다. 이중 어느 한 형태가 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나 많은 경우 여러 형태의 발진이 섞여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몇몇의 케이스에서는 턱의 탈모와 부종이 발생하기도 하며, 염증 반응으로 인한 가려움 때문에 해당 부위를 긁으면서 상처가 생기기도 합니다.
4. 어떻게 진단할까?
턱드름의 진단은 특징적인 병변의 부위와 증상을 통해 비교적 용이하게 진단이 가능한 편이지만, 추가적으로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는 모낭충, 말라세치아로 인한 감염, 그리고 알러지를 배제하는것 또한 중요합니다. 또한 그 정도가 심해 이차감염이 의심되면 배양이나 감수성 검사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5. 어떻게 관리할까?
고양이 여드름은 관리가 가능하지만 계속 재발하기 쉬우므로 평생에 걸친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아주 약한 증상이거나, 다른 이차 감염이 있지 않은 이상 미관상으로만 보기 좋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고양이의 삶의 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인터넷 커뮤니티를 보면 고양이 여드름이 심한 경우 살리실산이 들어간 사람용 청결제나 항지루성 샴푸, 소독약 등을 이용하여 관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항지루성 샴푸에 들어있는 벤조일 페록사이드는 피부 건조와 자극을 유발할 수 있고, 닦은 뒤 충분히 헹궈주지 않으면 피부에 남아 독성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또한 살리실산은 피부에 남아 아이가 핥아 먹는 경우 심각한 적은 양으로도 큰 독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은 금물입니다. 이와같은 물질은 조심스럽게 다뤄야 하며, 커뮤니티를 통한 잘못된 지식 탓에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감염이 있다면 필요한 경우 항생제를 동물병원에서 처방받아 관리해줄 수 있습니다. 다만 감염으로 나아가기 전단계에서는 턱드름 케어 전용 제품을 사용하면 예방과 관리가 가능합니다.
그루밍을 하는 고양이의 행동 특성을 고려해 핥아먹어도 안전한 천연 성분의 원료로 만들어진 제품을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또한 플라스틱, 고무재질의 밥그릇에의해 알러지가 발생할 수 있기때문에 이를 스테인리스 스틸, 세라믹, 유리재질로 바꾸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수의사가 알려주는 핵심 Tip
Q. 고양이 여드름이 무엇인가요?
A. 고양이 여드름이란 피지샘이 막혀 피지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한 채 축적되어 생긴 면포가 주로 턱과 입 주변에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면포 자체는 미관상 문제 이외의 어떤 치료를 요하지는 않지만 언제든지 치료가 필요한 피부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방치되거나 감염으로 인해 염증이 발생한 경우 면포는 작은 구진과 농포로 진행됩니다. 감염이 존재하는 경우 수의사의 판단에 따라 항생제를 처방받을 수 있으며, 전용 제품을 사용해 2차 감염으로 나아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위 정보는 2025년 01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방문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자 ⓒ반려생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반려동물 뉴스 노트펫,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