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폴동물병원의 알쓸반잡] 고양이 신부전(Feline renal failure)은 고양이에게 흔히 발생하는 만성 질환으로, 신장의 기능이 점차 손상되어 노폐물을 배출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신부전은 급성 신부전과 만성 신부전으로 나뉘며, 급성 신부전은 갑작스러운 신장손상으로 인해 발생하고, 만성 신부전은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진행되는 질환입니다. 고양이의 신부전은 노령화에 따라 발생 확률이 높아지며, 고령 고양이에게서는 매우 흔한 문제로 나타납니다.
▲고양이 신부전 원인
고양이 신부전은 원인은 다양합니다. 만성신부전은 주로 노화에 의한 신장 조직의 퇴행성 변화로 나타납니다. 급성 신부전은 독성 물질 섭취나 심각한 탈수, 감염, 부상으로 인한 혈류 장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일부 고양이에게는 선천적으로 신장 기능이 약하거나, 유전적 요인에 의해 신장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 신부전 증상
신부전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신장의 기능이 75% 이상 손실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잦은 배뇨 및 다음증 : 신장이 제대로 농축되지 못한 과도한 양의 소변이 생성되고, 이에 따라 고양이가 더 많은 물을 마시게 됩니다.

•식욕 저하 : 구토, 메스꺼움으로 인해 고양이가 식사를 꺼리고 체중 감소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구토 및 구강 문제 : 신부전으로 인해 체내 노폐물이 축적되어 구강에 염증이 생기고 구취가 발생합니다. 심한 경우 궤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체중 감소 : 영양 섭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체중이 감소하고, 근육 소실이 나타납니다.
•무기력 : 에너지가 부족해 고양이가 활동량이 감소하고, 무기력한 모습을 보입니다.
•빈혈 : 신장이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는 호르몬을 생산하지 못해 빈혈이 발생합니다.
▲고양이 신부전 진단
신부전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혈액검사와 소변검사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크레아틴(Creatinine) BUN(Blood urea nitrogen), SDMA 수치를 통해 신장의 기능을 확인하며, 소변의 비중을 통해 신장의 농축 기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신장이 손상되면 크레아틴과 BUN 수치가 증가하고, 소변의 비중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신장 초음파나 방사선 검사로 신장의 형태적 이상을 확인하기도 합니다.
▲고양이 신부전의 치료
고양이 신부전은 완치가 어렵고, 치료는 주로 증상 완화 및 신장 기능 보존에 중점을 둡니다.

•수액 요법 : 탈수 및 체내 독소 축적을 줄이기 위해 수액 요법을 시행합니다. 주사 형태로 제공하거나, 가정에서 피하수액주사를 통해 관리하기도 합니다.
•식이요법 : 신부전 고양이를 위한 특별한 저단백질, 저인 사료가 있으며 이는 신장에 부담을 덜 주고 전해질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약물요법 : 신부전으로 인한 고혈압이나 빈혈 등의 증상을 관리하기 위해 ACE 억제제, 고혈압 약물, 빈혈 치료제 등을 사용합니다. 인산염 결합제나 구토 억제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투석 : 중증 신부전의 경우, 투석을 통해 일시적으로 신장의 역할을 대신해 체내 독소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투석은 비용이 많이 들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지만, 치료 옵션 중 하나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고양이 신부전 관리 및 예방법
고양이의 신부전은 특히 노령묘에서 흔한 문제이므로, 적절한 예방및 관리가 중요합니다.
•정기검진 : 정기적으로 혈액검사와 소변 검사를 통해 신장 상태를 확인하고, 초기 신부전의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수분 섭취 : 탈수는 신장에 부담을 주므로, 고양이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양이에게 신선한 물을 항상 제공하고, 습식 사료를 섞어주는 것도 수분섭취를 돕는 방법입니다.
•저단백, 저인 식단 제공 : 특히 신장이 약한 고양이에게는 저단백, 저인 식단이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신부전용 사료는 시중에서 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신장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독성 물질에 주의 : 고양이에게 유독한 물질(백합, 에틸렌글리콜, 일부 약물 등)을 피하고, 집안에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고양이 신부전의 예후
신부전 고양이의 예후는 신장의 손상 정도와 치료 반응에 따라 달라집니다. 초기에 발견되어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받으면, 고양이는 안정된 생활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만성 신부전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므로, 보호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피하수액을 주기적으로 주입하거나 약물 투여를 지속해야 하며, 고양이 신장 상태를 자주 체크하면서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주의해야합니다. 특히 식이 관리와 수분 공급이 중요하며, 증상이 악화되면 즉각적으로 동물병원에서 상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김평 수의사(kimpyung@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