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리히大 연구 결과
음식 치워 버리는 타인에게 거짓 정보 제공
![]() |
개는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사람을 의도적으로 속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가 지난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스위스 취리히 대학교 연구진은 최근 학술지 ‘동물인지(Animal Cognition)’에 실린 논문에서 반려견 27마리를 대상으로 이틀간 개 인지 실험을 진행했다.
개 한 마리당 항상 간식을 주는 주인과 간식을 가져가 버리는 타인을 짝지었다. 개는 경험을 통해 둘 중 누가 협조적이고, 비협조적인지 인지한 상태다.
그리고 개에게 파트너 1명당 1번씩 상자를 고를 수 있는 선택권을 줬다. 상자 3개는 각각 맛있는 소시지 상자, 개 비스킷 상자, 빈 상자다.
첫날 실험에서 개들은 주인을 소시지 상자에 데려간 경우가 예상보다 많았다. 타인을 소시지 상자에 데려간 횟수보다도 더 많았다. 주인을 소시지 상자에 데려가면, 주인은 개에게 소시지를 줬다. 타인을 데려가면, 타인은 소시지를 가져가 버렸다.
둘째 날 실험에서 소시지 상자에 주인을 데려간 횟수는 더 늘었다. 놀라운 점은 개가 타인을 선택한 경우, 소시지 상자가 아니라 빈 상자에 데려간 횟수가 늘었다는 점이다. 타인이 소시지를 가져가지 못하게, 빈 상자를 선택한 것이다.
취리히 대학교의 마리안 헤버라인 교수는 “이 결과는 개가 협조적인 파트너와 경쟁적인 파트너를 구별하고, 그에 맞춰 행동하는 유연성과 기만전술을 쓸 줄 안하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이 놀란 지점은 개가 사람을 속인다는 사실이 아니라 속도였다. 하루 만에 많은 개들이 최선의 선택지를 알아냈다. 주인을 소시지 상자에 데려가고, 타인을 빈 상자에 데려가는 것이다. 원숭이가 최선의 행동을 알아내려면, 적어도 수십차례 실험을 반복해야 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