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일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업계 종사자들 어려움 쏟아내
반려동물가족이 늘면서 연관 산업 규모도 커지고 있지만 법적, 제도적 관리와 지원체계는 미흡하다는 호소가 쏟아져 나왔다. 한마디로 밖에서는 장밋빛으로 보고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1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개최한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반려동물 업계 종사자들은 현황의 어려움에 대해 토로했다.
토론회에는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대한수의사회, 한국애견연맹, 한국펫사료협회, 보험개발원 등에서 발제자가 나와 국내 반려동물 복지, 사료 및 관련용품, 수의, 보험 등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발표를 이어갔다.
먼저 농림축산식품부 김광회 사무관은 "반려동물 인구의 증가하는 여건을 반영해 동물복지팀을 신설하고 담당 인력을 늘렸지만 여전히 새로운 일을 추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앞으로 △반려동물 보호자 부담 완화를 위한 진료체계 개선, △반려견 놀이터 확대, △반려동물지원센터 건립, △유기동물 재입양 활성화 추진, △동물실험 규제 강화 등 10대 동물보호, 복지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주제 발표하는 농림축산식품부 김광회 사무관 |
지인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축산실장은 '반려동물 연관산업 현황과 개선과제'를 발표하며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반려동물의 학대와 유기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물 등록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정태균 한국애견연맹 부장은 반려동물 산업에서 주목할 만한 일자리를 소개했다.
기존의 애견미용사, 반려동물 훈련사, 핸들러, 반려동물종합관리사 등을 비롯해 펫시터, 펫워커, 고양이 전문 미용사, 반려동물 용품 디자이너, 반려동물 전문 사진사, 반려동물 요가·마사지사 등을 제시했다.
이어 김종복 한국펫사료협회장은 국내 펫사료 현황에 대해 "국내산 사료 소비량이 75%를 점유하고 있지만 매출액은 50%에 머물러 있어 국내 반려동물 사료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과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전문적이고 객관적인 제품 평가를 위한 펫전문 임상실험센터 건립 △제조 공정 및 원료 기준 마련 △산업동물 사료와는 다른 펫푸드만의 특성에 적합한 법·제도 개선 등을 제안했다.
우연철 대한수의사회 전무는 수의서비스에 대한 여러 문제점을 지적하는 데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수의사법의 목적에 '동물의 건강증진'이라는 문구가 삽입된 게 2010년이다. 그전까지 수의사법은 축산업의 발전과 공중위생의 향상을 위해 존재했다"며 앞으로 진료 대상에 대한 존재적 정의를 확실히 밝히고, 동물병원 진료비 논쟁 등의 수의서비스 부분을 단계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려동물 보험에 대해서는 아직 다양한 연구와 고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반려동물 보험에 대해 설명 중인 지연구 보험개발원 팀장 |
지연구 보험개발원 팀장은 "반려동물 의료서비스가 증가하고 있지만 피보험대상 식별의 어려움, 진료행위별 표준수가 및 진료 코드 부재, 통계 부족 등으로 보험료 산출이 어렵다"고 지적하며 반려동물 보험 활성화를 위해서는 "내장칩 일원화, 현행 동물 등록제 개선, 진료비 표준화를 통한 진료비 예측 가능성 제고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토론회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주최로 서울 서대문구 KT&G 서대문타워에서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