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릉왕모기 성충 |
[노트펫] '모기 잡는 모기' 광릉왕모기 사육 기술이 국내에서 처음 개발됐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고려대학교 배연재 교수 연구팀이 흡혈 모기류의 유충을 잡아먹는 광릉왕모기를 사육해 모기 방제에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향후 이 모기를 활용해사람에게서는 지카 바이러스나 뎅기열 등 모기 매개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바깥에서 생활하는 개와 고양이가 종종 걸리는 심장사상충 감소도 기대된다.
광릉왕모기는 유충일 땐 다른 모기의 유충을 잡아먹고, 성충이 된 후 동물의 피 대신 꽃의 꿀을 섭취하며 꽃가루를 옮겨주는 이로운 곤충이다.
이 모기는 인공적인 사육 환경에서 번식이 매우 어려웠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 기술원은 암막 사육장을 도입해 짝짓기와 산란을 유도하고 실내 번식을 가능하게 했다.
그 결과, 50일의 사육 기간 동안 광릉왕모기 암컷 한 마리에서 약 600마리 이상의 개체를 얻을 수 있었다
.
ⓒ 광릉왕모기 유충 |
광릉왕모기 유충 한 마리는 하루에 약 26마리의 다른 모기 유충을 잡아 먹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충기간인 약 16일 동안 무려 416마리의 모기 유충을 제거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기술원은 "광릉왕모기가 지카 바이러스나 뎅기열 확산의 주범인 숲 모기 유충을 잡아먹기 때문에 지카와 뎅기열 예방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