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펫] 옛날 옛날에, 그러니까 우리나라에 아직 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었을 때까지 생물학 교육과정에 '혀의 맛 지도'라는 개념이 있었습니다.
생명과학 교육과정에서 신경계와 감각에 관한 내용을 다룰 때, 맛을 느끼는 세포인 미뢰가 혀의 각 부분에서 어디에 분포하고 있는지를 표시하는 그림이었죠.
제 7차 교육과정은 1997년 교육부 고시로 발표되어, 2009 개정교육과정 (사실상의 제 8차 교육과정)이 실시되기 전까지 유지되었습니다. 그러니까 이 그림을 보고 뭔가 기억나는 게 있다면, 당신은 아...재…
교육과정에서 미각수용체는 맛의 종류를 짠맛 / 신맛 / 쓴맛 / 단맛 / 감칠맛의 다섯 가지로 나누어 느끼게 된다는 부분은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혀에서 맛을 느끼는 부분이 나뉘어져 있다는 개념은 과학적 오류가 있다는 논란 끝에, 이후 교육과정에서 혀의 맛 지도는 삭제됩니다.
실제로 우리는 혀의 모든 부분 뿐만 아니라 입천장 등 구강 내의 여러 구역에서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단지 '혀의 맛 지도'는 각각의 맛을 담당하는 미뢰가 주로 분포한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자료였지만, 보는 사람에 따라서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 문제였죠.
동물들에게도 각자의 맛 지도가 있다면
고양이와 관련된 정보에 관심이 많으신 집사님들은, 대부분 '고양이는 단맛을 잘 느끼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이는 고양이 및 고양이과 동물들이 오랜 세월 동안 엄격한 육식을 해 왔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는데요.
"좀 짠데..손 씼었어?" |
고양이는 잡식을 하는 동물들에 비해 필요로 하는 탄수화물이나 당분이 상대적으로 훨씬 적기 때문에 단맛을 '감지할 필요'가 없고, 때문에 단맛을 감지하는 미각수용체(Tas1R2 단백질)가 퇴화한 것으로 과학자들은 보고 있죠.
그렇다면 맛 지도의 색깔이 사람과 다른 동물들이 고양이과 동물들 뿐이었을까요? 2010년대 이후 연구자들은 다양한 동물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다양한 미맹 동물들을 찾아나서기 시작합니다.
Tas1R1 단백질이 없는 바다표범과 바다사자는 감칠맛을 느낄 수 없고, Tas1R1과 Tas1R2 단백질이 모두 없는 많은 박쥐 종들은 단맛과 감칠맛을 모두 느끼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집니다.
돌고래는 뛰어난 지능, 운동능력, 음파를 탐지하는 능력, 친화성, 모든 것을 갖췄지만… (출처 : 위키피디아 커먼즈) |
하지만 지금까지 알려진, 맛에 가장 둔감한 포유류 챔피언은 바로 돌고래입니다. 이들은 단맛과 감칠맛에 관련된 유전자 뿐만 아니라 쓴맛을 느끼는 수용체와 관련된 유전자의 절반 가량을 잃어버린 것으로 밝혀졌는데요.
왜 그럴까요? 고래류 동물들은 먹이의 맛을 확인하지 않고 큰 입을 이용해 통째로 삼켜버리는 습성이 있죠. 과학자들은 돌고래류의 경우 '멋이감의 맛 자체가 생존에 끼치는 영향이 거의 없기 때문에' 맛 감각과 관련한 유전자들이 퇴화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고양이가 단맛은 잘 느끼지 못하는 대신, 아데노신 삼인산(ATP)이라는 화학물질을 맛으로 느낄 수 있다는 주장을 하기도 합니다.
ATP는 생명 활동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원이고 세포가 죽으면 더이상 ATP를 생산하지 않기 때문에, 먹이 속의 ATP를 맛으로 감지함으로서 '고기가 신선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진화했다는 논리인데요.
고양이가 ATP를 '맛 볼 수 있는지' 여부는 연구결과가 충분치 않아 과학적으로는 불분명합니다만, 분명한 것은 여러 종의 동물들은 (같은 종 내의 서로 다른 개체들도 마찬가지로) 같은 음식을 서로 다른 맛으로 느낀다는 사실입니다.
시간이 더 지나고 연구결과가 쌓이면, 입맛이 까다롭기로 유명한 고양이들의 '맛 지도'가 완성될 수 있을까요? 그럴 수 있길 바라봅니다.
양이삭 수의사(yes973@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