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국발 미국행 유나이티드항공 비행기 안에서 대형 토끼가 죽는 사고로, 항공기 화물적재실에서 여행하는 반려동물의 안전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미국 ABC뉴스가 지난 26일(현지시간) 반려동물과 비행기로 여행할 때 알아야 할 것들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은 같은 날 반려동물과 안전하게 여행하는 법을 각각 소개했다.
반려동물과 같이 여행하는 경험은 주인과 반려동물 모두에게 도전이자 스트레스다. 하지만 사전 준비만 잘하면, 사고 없이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다.
실제로 언론에서 접하는 것만큼 동물 비행 사고가 많은 것은 아니다. 미국 교통국은 지난 2016년 항공기로 수송된 동물 1만마리당 사고는 1건 미만이라고 집계했다. 여기서 사고는 동물이 수송 중 다치거나 죽거나 사라지는 것을 말한다. 동물에 반려동물도 포함된다.
![]() |
미국 농무부는 동물복지법에 따라 주인과 항공사에게 동물 항공여행 규정을 준수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반려동물은 수하물로, 그 외의 동물은 화물로 분류하고 있다.
이 규정에 따르면, 반려동물이 비행을 견딜 만큼 건강하다는 수의사의 승인이 있어야 한다. 주인은 비행 전 반려동물이 항공 여행을 견딜 만큼 건강한지 수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개와 고양이는 생후 8주 이상 돼야, 비행기로 여행할 수 있다. 생후 16주 미만의 개와 고양이가 12시간 이상 장기 비행을 할 경우에, 반드시 물과 사료를 공급받아야 한다. 노령 동물인 경우에, 12시간마다 한 번씩 물을 주고, 24시간마다 한 번씩 밥을 줘야 한다.
그리고 항공사는 화물적재실에 있는 동물이 너무 춥거나 덥지 않도록,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 그래서 대형 항공사들은 동물을 실을 수 있도록 화물적재실에 기압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밀 섹션을 둔다.
반려동물 우리는 반려동물이 서고, 눕고, 한 바퀴 돌 수 있을 정도로 크고, 통풍이 잘 돼야 한다. 우리 안에 물과 사료 그릇도 같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반려동물이 쉽게 빠져나올 수 없도록 우리가 튼튼해야 한다. 우리 문이 열려서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항공사들은 동물 수송 전문가를 두고, 항공기마다 동물이 가장 마지막에 탑승하고, 가장 먼저 내리도록 신경 쓴다.
![]() |
비행기 타기 6시간 전부터 반려동물에게 딱딱한 고형식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행 전 적당히 산책시키고, 물을 적당히 마시도록 해서 컨디션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 비행 후에 물을 주고, 산책시키는 것을 잊지 말자.
모든 동물이 다 비행기를 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항공사별로 세부 규정이 다르다. 아메리칸항공은 개와 고양이만 탑승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유나이티드항공은 개, 고양이, 토끼, 앵무새를 제외한 새 등을 모두 받아준다.
반면에 제트블루와 사우스웨스트항공은 동물을 화물적재실에 싣지 않기 때문에 소형 동물만 허용한다. 제트블루는 체중 9㎏(20파운드) 미만의 작은 개나 고양이가 이동장에 갇힌 채 주인과 같이 객실에 탑승할 경우만 허용한다. 사우스웨스트항공도 제트블루와 비슷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 경우 동물의 편도 요금을 95~100달러(약 10만~11만원) 정도 부과한다.
다만 안내견처럼 주인의 장애를 돕는 동물은 이런 규제에서 예외이기 때문에, 자유롭게 무료로 탑승할 수 있다.
비용은 동물 크기와 비행 거리에 따라 천양지차다. 아메리칸항공은 화물적재실에 우리로 실을 경우에 200달러(23만원)까지, 객실에 실을 경우에 125달러(14만원)까지 각각 부과하고 있다. 유나이티드항공은 동물 요금을 200~2000달러(23만~230만원)까지 적용하고 있다. 델타항공은 75~200달러(8만~23만원)까지 부과한다.
지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연방 통계에 따르면, 유나이티드항공의 동물 수송 사고는 총 90건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사고율은 1만마리당 2.11건을 기록했다. 알래스카항공은 61건으로 2위를 기록했다. 알래스카항공의 지난해 사고율은 0.27건으로, 아메리칸항공(0.62건)과 델타항공(1.23건)보다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