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이 김치, 불고기라면 가장 한국적인 음식문화는 아마 쌈 문화가 아닐까 싶다.
우리처럼 쌈이 발달한 나라도 드물다. 채소 중에서 잎이 조금 크다 싶으면 모조리 쌈으로 싸 먹는데 상추를 비롯해 호박잎, 배c춧잎, 깻잎, 콩잎 등의 채소는 물론 곰취를 비롯한 갖가지 산나물, 들나물과 미역, 다시마 같은 해초로도 쌈을 싸먹는다. 얼마나 쌈을 좋아하는지 “눈칫밥 먹는 주제에 상추쌈까지 먹는다.”는 속담까지 생겼을 정도다. 밥을 얻어먹으면서도 슬금슬금 눈치 보며 상추에 밥을 싸 먹을 정도였으니 상추사랑이 유별났다.
쌈 문화는 뿌리도 깊다. 실학자 이익은 ‘성호사설’에서 집집마다 상추를 심는 까닭은 쌈을 싸먹기 위한 것이라고 했으니 조선 후기는 물론이고 고려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얼마나 쌈을 좋아했는지 옛날부터 채소에다 밥을 싸서 먹는 사람들이라고 외국에까지 소문이 났다. 원나라에 온 고려 사람들이 고향을 그리며 텃밭에 상추를 심어 쌈을 싸먹었는데 이 모습이 특이했는지 양윤부라는 원나라 시인이 고려인들은 채소에다 밥을 싸 먹는다는 시까지 남겼다.
상추쌈 즐기는데 지체 높은 양반이라고 예외가 아니었다. 밭일 하던 농부가 새참을 날라 오면 밭에서 푸성귀 따다 고추장, 된장 발라 한 입 가득 쌈 싸먹는 모습이야 옛날에도 마찬가지였겠지만 조선시대 왕실의 가장 높은 어른이었던 대왕대비마저도 여름이면 상추쌈의 유혹에서 벗어나기 힘들었던 모양이다.
‘승정원일기’에 숙종 때의 대왕대비 장렬왕후의 수라상에 상추가 올랐다는 기록이 있는데 특별히 조리를 하지 않는 상추 잎이라고 나오니 쌈을 싸먹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수라상에 오른 상추쌈에서 사단이 났다. 실수로 상추 잎에 담배 잎을 섞어서 올렸던 모양이다. 승정원일기에는 있을 수 없는 실수를 저질렀으니 담당자를 엄중하게 처벌해야 한다는 주장이 실려 있다.
순조의 장인으로 조선 말기 세도정치의 주역이었던 김조순 역시 냇가로 천렵 갔을 때 갓 잡은 생선으로 회를 떠서 술 한 잔 기울이며 상추쌈에다 밥을 싸 먹은 것을 풍류로 자랑하는 글을 남겼다. 그러니 상추쌈은 왕실 최고 어른에서부터 막강한 권력의 세도가까지, 그리고 시골의 농부와 아낙네까지 모두가 즐겨 먹는 음식이었다.
삽화: 김용민/비즈니스 워치 |
게다가 상추는 “좋기는 좋은데 말로 표현하기가 힘든”그런 채소였다. 그래서 옛날 여인들은 고추밭의 이랑 사이에 심은 상추는 특별히 서방님 밥상에만 은근히 차렸다고 하니 고추와 상추의 기운이 서로 상승효과를 일으켜 특별한 작용을 한다고 믿었던 모양이다.
사실 요즘은 상추 먹으면 졸음이 온다고 하지만 옛날 사람들은 하나같이 상추가 정력에 좋다고 믿었다. 상추의 효능에 대해 적은 옛날 의학서에는 상추가 정력에 좋다는 내용이 반드시 들어 있다. 멀리 당나라 때 손사막이 쓴 ‘천금식치’에는 상추가 정력을 더해 준다(益精力)고 기록해 놓았고 우리나라 ‘동의보감’에도 상추는 맛이 쓰고 성질이 차갑지만 오장을 편하게 하며 사람에게 이롭다고 했다.
심지어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는 상추를 생식의 신에게 바치는 제물로 삼았으니 상추가 스태미너에 좋다는 믿음은 동서양이 공통적이었다. 상추쌈이 더욱 맛있어 지는 계절이다.
칼럼 연재
칼럼 완결
기행 완결